-
[WINDOW] 기본 설치파일 및 스크립트 추가Window 2020. 3. 19. 13:58
개요
원래는 지난 3편을 마지막으로 WINDOW 자동화는 모두 마무리 지으려고 했으나, 새롭게 추가된 내용이 있어서 내용을 업데이트한다. 이미지 자체에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추가하거나 설정을 바꿔야할 때, 우리는 봉인모드를 사용해서 이미지를 편집하게 되는데 솔직하게 말해서 환경 구축하고 봉인하고 재 배포하는 과정은 귀찮은게 사실이다. 이미지의 용량이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지만 그 부분을 감수한다면 봉인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을 생략하고 이미지를 커스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etupComplete.cmd 수정하기
진행방법은 앞서 소개했었던 SetupComplete.cmd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다른 스크립트를 불러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간단하게 표현하면 아래와 같은 구성인데, 스크립트를 여러 곳에서 관리하지 않고 이미지 안에서만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버전관리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장점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메인 스크립트) SetupComplete.cmd (추가 호출) NTP_Config.cmd 서버 NTP 설정 (추가 호출) IPSEC_Cofnig.cmd 서버 접근제어 구성 (추가 호출) Security_Check.cmd 서버 보안취약점 조치 및 점검 이제부터는 실제 구성하는 과정을 보도록 하자. 메인 스크립트와 동일한 경로에 넣어주고 해당 스크립트를 호출하는 구문을 SetupComplete.cmd에 넣어주면 다른 스크립트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그림-1. 서브 스크립트 추가 및 호출 그림-2. 서브 스크립트(test.cmd)에 의하여 'yks_admin'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 프로그램 설치 파일 추가
위에서 진행했던 부분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OS가 자동으로 설치되고 수행되어야 하는 내용들은 없기 때문에 스크립트가 있는 경로와는 별개로 폴더를 생성하면 나중에 설치한 뒤, "C:\Windows\Setup" 폴더에 그대로 생성되게 된다. '그림-3'과 같은 결과값이 나오게 되므로 반드시 필요한 프로그램만 넣어놓고 필요 여부에 따라 설치하면 되겠다.
그림-3. 이미지에 프로그램 설치 파일 삽입 후, 설치 후에 위치한 것을 확인
마무리
WINDOW 이미지도 생각보다 리눅스만큼 커스텀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WINDOW SERVER 2012 R2 Std 이미지를 사용해서 테스트하였으며, 특이사항없이 구현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다른 게시글과 마찬가지로 이상한 점이 있거나 문의사항은 언제든지 댓글 달아주시면 확인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Wind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 스크립트를 통한 설정 자동화 (0) 2020.02.27 [WINDOW] 응답파일을 통한 설치 자동화 (0) 2020.02.18 [WINDOW] 봉인모드 생성/수정 (만능고스트) (2) 2020.02.17